[개발]프로그래밍/python
[python] ** (제곱), %(나머지) , /(몫) - 숫자형을 이용한 사칙연산
좋은 블로그
2022. 6. 8. 11:59
숫자형을 이용한 사칙연산
- 목 차 -
![](http://bfc24.cafe24.com/home/images/python.png)
1. ** 연산자 → 제곱의 값을 반환
2. % 연산자 → 나눗셈 후 나머지 값 반환
3. / 연산자 → 나눗셈 후 몫을 반환
1. ** 연산자
제곱을 계산하여 결과값을 반환
파이썬에서는 제곱을 계산하는 연산자로 **을 사용합니다.
두 개의 변수에 각각의 정수형의 값을 담아서 제곱의 값을 구하시면 됩니다.
python 코드
1
2
3
4
5
|
value1
=
5
;
value2
=
3
;
print
(value1 ** value2 );
//결과
125
|
코드설명
5
**
3
value1 과 value2 라는 변수에 각각에 5와 3을 담고 ** 연산자를 이용하여 제곱근을 구하게 하였습니다.
보통 몇의 몇승이라고 해서 5의 3승이라고 할 수 있는 이 결과값은 125가 나오게 됩니다.
5*5*5를 계산해서 반환해 주기 때문입니다.
보통 몇의 몇승이라고 해서 5의 3승이라고 할 수 있는 이 결과값은 125가 나오게 됩니다.
5*5*5를 계산해서 반환해 주기 때문입니다.
2. % 연산자
나눗셈을 계산한 후에 나머지를 반환
두 개의 변수 사이에서 나눗셈을 실행한 후에 나머지를 반환하는 연산자는 %입니다.
python 코드
1
2
3
4
5
|
valueT1
=
7
;
valueT2
=
4
;
print
(valueT1 % valueT2 );
//결과
3
|
코드설명
7
%
4
valueT1 과 valueT2 에 각각 7과 4를 담고 %를 이용하여 나머지를 구하게 하였습니다.
7을 4로 나눌때는 몫이 1이 나오고 나머지는 3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는 나머지에 해당하는 3을 반환하고 있습니다.
7을 4로 나눌때는 몫이 1이 나오고 나머지는 3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는 나머지에 해당하는 3을 반환하고 있습니다.
3. / 연산자
나눗셈을 계산한 후에 몫을 반환
나머지를 반환하는 %과는 다르게 몫을 반환하는 연산자는 /입니다.
python 코드
1
2
3
4
5
6
7
8
|
valueM1
=
9
;
valueM2
=
2
;
print
(valueM1 / valueM2 );
//결과
4.5
print
(valueM1 // valueM2 );
//결과
4
|
코드설명
9
/
2
9를 2로 나누게 되면 몫은 4이고 나머지는 1이 나오게 됩니다.
/는 몫을 구하는 연산자로 현재 4.5라고 소수점까지 표시를 해주고 있습니다.
/는 몫을 구하는 연산자로 현재 4.5라고 소수점까지 표시를 해주고 있습니다.
9
//
2
만약에 /를 하나 더 붙여서 //를 연산자로 사용하게 되면 4.5에서 정수에 해당하는 4만은 반환하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