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COUNT,SUM - 역할
COUNT - 테이블에 데이터가 몇 건이 존재하는 확인하는 함수
SUM - 컬럼에 해당하는 전쳬 합계를 확인하는 함수
2. COUNT,SUM - 기본 테이블
◈ 기본 테이블
NAME | AMT | DEPT |
테스트1 | 1000 | test_d1 |
테스트2 | 1000 | test_d1 |
테스트3 | 2000 |
|
테스트4 | 1000 | test_d2 |
테스트5 | 2000 | test_d2 |
3. COUNT - SQL 문장
◈ SQL
1 2 3 4 5 | SELECT COUNT(*) AS TOTAL_C ,COUNT(DEPT) AS DEPT_C ,COUNT(NVL(DEPT,0)) AS DEPT_NC ,COUNT(DISTINCT DEPT) AS DDEPT_C FROM TEST_TABLE_ONE |
◈ 결과 테이블
TOTAL_C | DEPT_C | DEPT_NC | DDEPT_C |
5 | 4 | 5 | 2 |
◈ 설명
TOTAL_C는 테이블 전체 건수를 구하는 것으로 5가 나옵니다
DEPT_C는 DEPT 컬럼 건수를 구하는 것인데 NULL은 제외하고 개수를 구합니다
DEPT_NC는 NVL를 사용하여 NULL 일 경우 다른 것으로 대체하여 개수를 구합니다
DDEPT_C는 DEPT 컬럼에서 중복된 것은 제외하고 NULL 은 제외가 되고 개수를 구합니다
4. SUM - SQL 문장
◈ SQL
1 2 3 | SELECT SUM(AMT) AS SUM_ONE ,SUM(DISTINCT AMT) AS SUM_TWO FROM TEST_TABLE_ONE |
◈ 결과 테이블
SUM_ONE | SUM_TWO |
9000 | 6000 |
◈ 설명
SUM_ONE는 전체 AMT 합계를 구합니다
SUM_TWO는 중복된 AMT는 제외함으로 1000,2000이 중복됨으로써 총 3000이 제외됩니다
'[개발]프로그래밍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GROUP BY - 그룹핑을 활용한 데이터 추출 (0) | 2016.10.06 |
---|---|
[oracle] MIN , MAX - 최소값과 최대값 (0) | 2016.10.06 |
[oracle] DISTINCT - 중복된 내용 제거 (0) | 2016.10.04 |
[oracle] DECODE , CASE - 조건에 따른 결과 (0) | 2016.10.04 |
[oracle] TO_DATE - 날짜형 데이터로 변환 (0) | 2016.10.04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