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rintf(%+d) - 개념숫자에서 음수인지 양수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 음수에 - 부호를 붙여주는데 %+ 라는 것을 이용해 양수에도 +를 붙여서 표시하는 부호 지정자◈ 구문형식 prinft('%+d',값1,값2...) 2. printf(%+d) - 예제 ◈ PHP 코드 123456 ◈ 결과화면 ◈ 설명 %d라는 지정자는 정수를 표시해 주는 지정자입니다.소수점으로 입력했다고 할지라도 %d는 정수만을 표시해주는 지정자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1이라고 나옵니다.이 %d라는 지정자 앞에 +라는 부호를 붙여주면 -인 경우에는 똑같이 -가 붙여서 나오지만 부호가 없는 일반 정수를 표시할 때는 앞에 +라는 부호가 붙게 됩니다.
1. printf() - 개념echo(),print()는 문자열에 표현하고자 하는 변수의 값을 표시할 때 이용되지만 이것들은 있는 그대로 표시하는 것이고 printf()는 형식을 갖춰서 문자열을 표시할 수 있음 ◈ 구문형식 prinft('형식을 포함한 문자열',원하는 값1, 원하는 값2 ,...) 2. printf() - 예제 ◈ PHP 코드 123456 ◈ 결과화면 ◈ 설명 $test1과 $test2에 소수점 셋째자리까지 있는 임의의 값을 넣고 printf를 이용해서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해 보았습니다.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제가 이용한 형식 지정자는 .f로써 앞에 있는 1,2는 몇번째 자릴에서 반올림 할지에 대해서 설정하는 것입니다.여기서 3으로 한다고 해서 %.3f로 하게 된다면 소수점 네 번째 자..
1. 개념이 구문을 사용하면 여러 행의 문자열을 간단히 만들 수 있음 ◈ 구문형식
1. 큰 따옴표,작은 따옴표- 개념일반 html과 다르게 문자열을 큰 따옴표로 감쌀때와 작은 따옴표가 차이가 있음 2. 큰 따옴표,작은 따옴표- 예제 ◈ PHP 코드 1234567 ◈ 결과화면 ◈ 설명 html에서는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에 차이가 없습니다.그런데 php에서는 큰 따옴표를 변수를 묶었을 경우에는 변수에 해당하는 값이 출력되고, 작은 따옴표로 할 경우에는 변수 자체를 문자열로 인식하면서 변수명이 나오게 됩니다.
1. $$ 가변변수 - 개념가변 변수 이용시 변수이름을 동적을 변경할 수 있음$변수명 으로 선언한 후 앞에 다시 $를 붙여서 $$가 있을 경우 가변변수로 이용이 가능함 2. $$ 가변변수 - 예제 ◈ PHP 코드 123456 ◈ 결과화면 ◈ 설명 $test를 abc라는 문자열을 선언해서 echo로 화면출력 했을 경우는 abc가 나옵니다.여기에 $를 하나 더 붙여서 $$test 를 100으로 주면 결국 이 말은 $$test = $abc 라는 말이 됩니다.그래서 $abc = 100 이기 때문에 $abc를 화면 출력할 경우 100을 출력하게 됩니다.
1. static - 개념함수 안에서만 쓰이는 지역 범위의 변수이면서도 값은 전역 범위 변수처럼 유지하는 변수 ◈ 구문형식 static $변수 = 값; 2. static - 적용하지 않는 예제 ◈ PHP 코드 123456789101112131415 ◈ 결과화면 ◈ 설명 static를 사용하지 않는 num_count 함수를 for문을 이용해 5회 돌린다고 하면 위와 같이 $a에 1을 더한 값이 나옵니다.for문을 통해 값을 돌릴 때마다 $a는 0으로 초기화 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결과는 당연한 것입니다. 3. static- 적용한 예제 ◈ PHP 코드 123456789101112131415 ◈ 결과화면 ◈ 설명 지역변수 $a를 static 라고 정적 변수로 바뀌게 되면 똑같이 for문을 5회 실행함에도 불..
1. global - 개념일반 javascript와는 다르게 php에서는 전역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global 라는 것을 변수 앞에 붙여줘야 제대로 전역 변수를 사용할 수 있음 ◈ 구문형식 global $변수; 2. global - 잘못된 예제 ◈ PHP 코드 123456789101112 ◈ 결과화면 ◈ 설명 num_plus 라는 함수를 보게 되면 $result에 분명히 들어온 2개의 인자와 $total에 해당하는 금액 또한 더하라는 명령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결과 합계는 3000으로 나옵니다. 이 결과는 $a 와 $b 만 더하고 $total를 합치지 않은 금액입니다. 이유는 $total이 전역변수인데 전역변수로 인지하고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3. global - 올바른 예제 ◈ PHP 코드 1234..
1. function 배열 인수 - 개념php에서 사용자 정의 함수를 만들 때 인수를 고정 개수가 아닌 여러 개수를 받아서 배열로 처리할 때 쓰임 ◈ 구문형식 function 함수명($인수,...$인수2){ } 2. function 배열 인수 - 예제 ◈ PHP 코드 123456789101112131415161718 ◈ 결과화면 ◈ 설명 두번째 인수에 인수를 고정하지 않는 배열의 개념인 ...$b 라는 인수를 선언하였습니다.그래서 10 이하 홀수인 것만을 표현하고자 할 때 위와 같이 echo를 해서 확인을 해보니깐 ...$b를 그대로 표현할 경우에는 Array로 표시를 합니다.즉 ...$b = {1,3,5,7,9} 형태의 배열 형태로 저장이 되어 있는 것입니다.이를 impolde를 통해 배열을 풀어서 콤..
1. function 초기값 - 개념php에서 사용자 정의 함수를 만들 때 인수에서 초기값을 설정 할 수 있음 ◈ 구문형식 function 함수명($인수1 = 값, 인수2 = 값.....){ } 2. function 초기값 - 예제 ◈ PHP 코드 1234567 ◈ 결과화면 ◈ 설명 첫번째 테스트 값에서는 test라는 함수를 불러올 때 인수를 두개 입력했습니다.1000,2를 입력함으로써 1000*2 = 2000 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하지만 두번째 테스트 값의 경우는 test 함수에 $a에 인수를 하나만 입력했습니다.$b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처음 설정한 초기값 1이 들어오게 되어 1000*1 = 1000 으로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